본문 바로가기

습관의 힘 - 줄거리, 느낀점

by 능동적인 게으르미 2023. 3. 14.
반응형

습관의 힘 표지

'습관의 힘' 은 이전 회사 동료가 인상깊게 읽었다며 선물하여 읽게 되었는데, 지금 내가 갖고 있는 습관에 대해 떠올려볼 수 있는 기회이기도하지만 향후 도움이 되는 새로운 습관을 만들어가보고 싶은 분이라면 이 책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습관의 힘'줄거리

이 책은 개인, 기업, 사회 3개의 파트로 나뉘어 습관을 만들고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다루고 있다.

 

첫 번째는 '개인의 습관' 파트는 습관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어떻게 반복하여 행동하게 되는지, 그리고 이 습관을 변화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한다. 먼저 습관은 자동화된 행동 패턴인데, 습관이 형성되고나면 그 행동이 자동화되어 의식적인 노력이 없어도 신호, 반복행동, 보상으로 이루어져있다. 신호가 습관을 시작하게 하는 자극이라면, 반복행동은 습관 그 자체이고, 보상은 습관을 계속 유지하도록 하는 긍정적인 자극이 된다. 그리고 습관 형성은 뇌의 신경망에서 일어나고, 반복적인 행동을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한다. 습관은 잘 이용하면 내 생활과 삶을 개선할 수 있는 도구가 될 수 있다고 말한다.

 

두 번째 '기업의 습관' 파트에서는 기업 내부에서 습관이 어떻게 형성되고, 그 것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야기한다. 구체적인 사례로 애플, 스타벅스, P&G 등과 같은 성공한 기업 내에서 습관을 어떻게 활용해 기업 문화, 제품, 서비스를 개선 및 발전시킬 수 있었는지에 대해 소개하였다. 또한 조직 구성원들도 어떻게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기존 습관을 바꾸고, 새로운 습관을 형성하는지에 대해서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조직 차원에서의 문제를 발견하고, 이를 수정해 발전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도 제안하는데 예를들면 기업 문화, 리더십, 구성원의 동기부여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세 번째 '사회의 습관' 파트는 사회적 변화와 사회운동, 권력이 어떻게 습관에 의해 형성되고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설명하고 사회적으로 지속 가능한 변화와 발전을 위해 정보에 대해 이야기 한다. 

먼저 사회적 변화와 사회 운동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한 습관 형성에 대해 사회 운동, 권리 운동, 환경 운동, 고용 운동 등을 사례로 소개하면서 어떤 습관을 강화해야하는지 소개한다. 다음으로 지난 역사에서 제국이나 독재자들이 사회적 습관을 이용해 어떻게 권력을 유지하고 확장하는지에 대해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개인의 습관이 사회적 변화를 일으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예로는 대통령 선거, 마케팅 전략 등을 통해 어떤 습관이 사회 전체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이야기 한다. 

 

'습관의 힘' 을 읽고 느낀점

나는 내가 갖고 있는 습관에 대해 자세히 들여다 본 적이 없었는데, 이 책을 읽어보면서 내가 갖고 있는 습관에 대해 생각해보았다. 되짚어보니 생각보다 삶은 습관의 연속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침에 일어나 휴대폰을 제일 먼저 보고, 물을 마시고, 유산균을 먹고 등 출근하기 까지 내 행동은 대부분 의식을 가지고 움직인다기 보다 매일 같은 시간에 같은 행동을 반복하며 하루를 보내고 있다고 느껴졌다. 그리고 어떤 습관들이 나를 향상시키고, 반대로 방해하는지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게 되었다. 

 

그런데 한 번 생긴 습관은 의식적으로 노력하지 않으면 아주 쉬운 반복행동이라도 바꾸기 쉽지가 않다. 이 책에서는 습관을 바꾸기 위해 습관의 신호, 행동, 보상에 대해 파악하고, 이 3가지 요소를 바꾸어가며 새로운 습관을 만들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또한 습관을 바꾸는 것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이기에 꾸준한 노력과 의력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좀 당연한 말인데, 또 맞는 말이기도 하다.)

 

책에서는 습관을 바꾸고 새로운 습관을 형성하다보면, 새로운 능력을 발견하기도 하고, 그로 인해 자신감이 회복되기도 하며, 자기 계발이 자연스럽게 이어진다고 말한다. 습관을 바꾸고 새롭게 만드는 것은 스스로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이를 통해 어디서든 이루고자 하는 목표에 가까워질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 책에서는 개인의 습관만 다루는 것이 아니기에, 직장에서 그리고 회사 차원에서도 습관 형성을 적용해 볼 수 있음을 제안한다. 조직 내 개개인이 아닌 조직 자체를 하나의 대상으로 삼고, 조직의 역할, 목표를 기반으로 지금 갖고 있는 습관들을 먼저 정의해보고, 어떤 좋은 습관을 가지고 있는지, 좋지 않은 습관은 무엇인지 구분한 후 개선이 필요한 습관은 바꾸어 나간다면 팀 내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좋은 과정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나는 아직 회에서 습관 바꾸기 작업은 적용해보지 않았지만 우선 개인의 습관 형성 부터 성공시킨 후 회사에서도 적용해 보고자 한다. 

 

이번 책은 읽고 나서 책에서 말한 내용을 내 삶에 적극적으로 적용해 보고 싶어, 이것 저것 계획을 세우고 있는데 이후에 내 삶 속에서 긍정적인 습관을 만들어가는 과정에 대해서도 한 번 정리해보아야겠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