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삶

방광염 증상, 발생원인, 예방법, 치료방법

by 능동적인 게으르미 2023. 4. 8.
반응형

방광염은 엄마가 몇 년 째 피곤할 때면 앓는 만성질환이고, 통증이 심해 일상 생활에 어려움이 있는 모습을 보고 어떤 질환인지 궁금해 알아보았다. 엄마가 많이 아파하시는 모습을 보고도 막상 내가 옆에서 해줄 수 있는 것이 없어 바라보는 것 보다 질병에 대해 제대로 알고 엄마를 도와드리고 싶었다. 

 

방광염 증상

방광염은 방광내막에 염증이 생겨 발생하는 질환인데, 우선 방광은 소변을 보관하는 장소로 방광 내 세균이 갑자기 과다하게 발생하면서 나타나게 된다. 방광염은 '잦은 또는 급한 소변, 소변을 보는 동안 통증, 소변색이 탁하거나 어두움, 소변에 혈액이 섞여 나옴, 허리와 주변 다리 그리고 아랫배 통증, 소변을 본 후에도 배뇨감이 남아있음 등' 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방광염은 방광에 자극을 주어 소변의 양이 감소하거나, 소변을 자주 보고 싶은 느낌이 들도록해 적은양의 소변을 자주 보게 된다. 반면 소변이 자주 마려운데에 비해 소변이 나오는데에 시간이 걸릴 수 있고, 소변을 보는 것이 어려움을 느낄 수도 있다.

 

다음으로 소변을 보는 동안 불편한 느낌이 들거나, 심한 경우 강한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이 통증은 때에 따라 성관계 중에도 발생할 수 있다. 통증은 특히 골반, 아랫배, 허리 등에서 주로 느껴질 수 있는데 초기에는 불쾌한 정도의 느낌일 수 있지만 증상이 심해질수록 통증이 강해지고 오랜 시간 느껴져 일상 생활에 불편함을 줄 수 있다. 이외에도 방광 내막의 염증으로 소변의 색이 탁해지거나, 혈뇨로 인해 끈적거리는 느낌도 받을 수 있다. 

 

 

방광염 발생원인

방광염의 발생원인은 '세균 감염, 자극적인 물질, 방광 손상, 성관계, 호르몬의 변화 등' 에 해당한다. 방광염은 주로 세균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대부분은 대장균에 의해 감염된다. 급성 방광염은 세균이 요도를 따라 방광까지 도달한 경우 발생하게 되는 현상인데, 여성의 요도가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아 세균이 방광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비교적 쉽게 발생한다. 하여 방광염은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많이 발생하고 여성의 대략 30% 정도가 질병을 경험한다고 한다. 

 

다음으로 자극적인 물질로 인해 염증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는데, 화학물질, 세제, 환경오염 등이 방광 내부에 자극을 주어 알러지 반응이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매운 음식, 술, 탄산음료 등이 소변을 자극해 방광염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 때 방광 내부가 손상되어 있는 경우 자극적인 물질로 인해 더 쉽게 방광염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외에도 성관계는 질내 서식하던 세균이 성행위에 의해 요도를 거쳐 방광으로 이동해 염증을 유발하고, 호르몬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월경주기 변화, 임신, 완경 등이 방광염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한다. 또한 방광암, 방광 결석, 방광 경련, 방광 수술 등 방광이 약해진 상황에서도 방광염이 발생할 수 있다. 

 

방광염 예방법

 

 

방광염은 대부분은 세균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만큼 세균에 감염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방광염을 예방하는데에 도움이 되기에, 일상에서 청결한 위생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성관계를 한 후에는 소변을 봐 혹여 요도로 이동한 세균이 머무르지 않도록하는 것이 좋고, 소변을 본 후 휴지로 닦아낼 때에는 앞에서 뒷 방향(항문쪽)으로 닦는 것이 좋으며, 손을 자주 씻어 애초에 세균이 여기 저기 퍼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속옷을 매일 갈아입는 등 청결한 속옷을 착용하고, 요도와 방광을 압박하는 속옷이나 옷을 착용하지 않는 것 역시 도움이 된다.

 

이외에도 적절한 소변량을 배출하는 것이 세균 감염을 줄이는데에 도움이 되기에 물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을 권장하며, 소변이 마려울 때에는 너무 오랜 시간 참지 않고 화장실에 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자극적인 음식(매운 음식, 술, 탄산음료 등)의 섭취를 줄여 소변을 볼 때에 자극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방광염 예방에 좋다. 

 

방광염 치료방법

 

 

방광염의 치료방법으로는 '약물치료, 온열치료 등'이 있다. 약물치료의 경우 항생제를 복용하는 것이 세균 감염을 치료하는데에 가장 도움이 되는데, 꼭 병원에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은 뒤 처방받은 약물을 복용해야 한다. 추가로 강한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진통제를 복용하기도 하는데, 이 역시 기존에 처방받은 약물이 있다면 의료 전문가와 상의하여 복용하도록 해야 한다. 

 

온열치료는 좌욕, 뜨거운 수건, 전기담요 등을 사용해 방광 주변을 따뜻하게 해주는 방식으로 할 수 있는데, 방광의 자극을 줄이는데에 도움이 된다. 

 

이외에도 물을 충분히 섭취하면 방광 내 세균을 희석시킬 수 있고, 몸 밖으로 소변과 함께 내보낼 수 있어 방광을 깨끗하게 유지하는 것에 도움이 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