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삶

눈 흰자 물집 결막부종 - 증상, 발생원인, 치료방법

by 능동적인 게으르미 2023. 3. 17.
반응형

눈 흰자에 물집(결막부종)이 생겼는데 이게 무엇인지 심각한 것은 아닌지 너무나 걱정이 되어 병원을 찾았고, 이런 증상을 겪으신 다른 분들도 많이 걱정하고 있을 것 같아 물집이 생긴 내 눈은 지금 어떤 상태이고, 물집은 왜 발생했으며, 어떻게 치료할 수 있는지, 마지막으로 어떻게 예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눈 흰자 물집 증상 

눈 흰자 물집은 흰자 위를 감싸고 있는 결막에 염증이 생겨 부풀어 올라 생기는 증상으로 결막부종이라고 말하기도 하는 것 같다. 

 

내 눈을 찍어두지 않아서 증상을 조금 더 자세히 말하자면, 오른쪽 눈의 흰자에 물집이 생겼고 정확히는 아이라인을 그리는 맨 오른쪽 뒷 부분쪽에 물집이 생겨 눈을 감고 뜰 때 이물감이 있었다. 처음엔 뭔가 피부에 생기는 뾰루지 같은 느낌인가? 고름 같은 것이 있는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들었는데, 안과에서 확대된 사진을 보니 투명한 물집이었다. 육안으로 보면 투명하게 보이지 않는 것 같기도 하다. 

 

나는 이물감 이외 다른 증상은 없었는데, 찾아보니 눈 흰자에 물집(결막부종)이 잡히게 되면 아래와 같은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한다. 

이 경우 안과 전문의의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좋으나, 물집이 시간이 흘러 자연스럽게 사라지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 눈이 붓거나 불편해지고, 따가울 수 있다. 
  • 눈이 가렵거나, 불편하거나 아프게 느껴질 수 있다. 
  • 물집이 있는 부위가 붉거나 발적이 생길 수 있다. 
  • 시력이 일시적으로 저하될 수 있다. 
  • 물집이 있는 부위가 더 커지거나, 발열, 어지러움, 두통, 복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반응형

 

눈 흰자 물집 발생원인 및 예방법

눈 흰자에 물집이 발생하는 이유는 크게 2가지로 나뉜다.  

  1. 먼저 일반적인 이유로는 눈에 상처와 같은 외부의 강한 자극이 있을 때이다. 상처 등의 외부의 강한 자극이 있는 경우 눈 흰자 표면에 있는 피부가 떨어지면서 물집이 생길 수 있고, 눈이 너무 건조한 상태도 이에 해당한다. 상처는 눈을 긁거나, 먼지나 이물질 등이 들어갔을 때에 발생할 수 있다. 
  2. 다음으로 눈에 염증이나 감염이 있을 때이다. 결막염, 각막염 등과 같은 염증과 눈 부속기관에 해당하는 눈물샘, 눈꺼풀, 눈물관 등이 감염되었을 때 눈 흰자에 물집이 생길 수 있다. 이 때 물집과 함께 붉은 반점이 생기거나, 눈이 따끔거리는 등의 증상이 함께 발생할 수 있다. 

앞서 정리한 원인을 살펴보았을 때, 눈에 물집이 발생하지 않기 위해서는 생활속에서 미세먼지, 눈 비비기, 건조한 환경 등을 조심하면 물집이 잡히는 현상을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눈 흰자 물집 치료방법

눈 흰자에 생겨난 물집은 대부분은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사라지므로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지만, 치료 방법은 물집의 원인과 정도에 따라 다르기에 꼭 병원에 방문하는 것이 좋다.

또한 물집이 더 커지거나 가려워 눈을 비비는 등의 자극을 줄이기 위해 병원에 방문해 제거하는 것이 더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나의 경우 3가지의 안약을 처방 받았는데, 첫 번째로 스테로이드성 점안액, 두 번째로 안구건조증치료제, 세 번째로는 인공눈물 3가지 였고 모두 냉장 보관을 할 것을 권장 받았다. 또한 안약은 한 번 넣은 뒤 5분의 텀을 두고 투약해야 한다고 설명받았다. 

  1. 산텐 플루메로론 0.1 점안액: 하루 4회 (아침, 점심, 저녁, 자기 전)
  2. 디쿠아스 점안액 3%: 하루 1회 (아침 또는 자기 전)
  3. 큐알론 점안액 0.3%: 수시로 

반응형

댓글